새 카테고리

이서구 묘

丫凹丰凸㐃 2015. 2. 18. 11:57

 

 

한자

李書九
이칭/별칭 낙서(洛瑞)/척재(惕齋)/강산(薑山)/소완정(素玩亭)/석모산인(席帽山人)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전병무

     

[정의]

조선 후기 포천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신.

[가계]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낙서(洛瑞), 호는 척재(惕齋)·강산(薑山)·소완정(素玩亭)·석모산인(席帽山人). 덕흥 대원군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영의정을 증직 받은 이원(李遠)이고, 친어머니는 부사 신사관(申思觀)의 딸인 평산 신씨(平山申氏)이다. 두 번째 어머니는 이한복(李漢復)의 딸인 진주 이씨(晉州李氏)이다.

[활동 사항]
이서구(李書九)[1754~1825]는 5세 때 어머니를 여의고 외할머니 집에서 자랐다. 외숙으로부터 『당시(唐詩)』·『사기(史記)』·『통감(通鑑)』 등을 배웠다. 외가에서 7년을 지내고 1765년(영조 41) 아버지에게 돌아와 여러 경전(經典)을 읽기 시작하였다. 16세부터 박지원(朴趾源)의 문하에 들어가 학문과 문장을 배웠다. 이후 그곳에서 이덕무(李德懋)·유득공(柳得恭)·박제가(朴齊家) 등 실학파 인물들과 사귀며 평생을 교류하였다.

1774년(영조 50) 가을 정시 병과에 16인으로 뽑혔고, 10월에 섭기주(攝記注)로 첫 벼슬을 받았다. 1775년(영조 51) 관직을 버리고 5~6년간은 오로지 학문에만 뜻을 두고, 특히 사서(四書)를 탐독하였다. 이 무렵 이덕무·유득공·박제가 등과 함께 『한객건연집(韓客巾衍集)』에 참가함으로써 사가 시인(四家詩人) 또는 실학 사대가(實學四大家)라는 칭호를 얻었다.

1785년(정조 9) 시강원 사서를 지냈고, 홍문관 교리를 거쳐 1787년(정조 11) 경상 우도 암행어사로 파견되어 탐관오리를 탄핵하였다. 이어 1795년(정조 19)까지 승정원 승지, 사헌부 대사헌, 사간원 대사간, 전라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였는데, 때로는 모함을 받아 유배 생활을 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조는 공론을 배격하고 실사구시(實事求是) 사상으로 해박한 지식을 가진 그를 총애하였다. 1796년(정조 20) 사간원 대사간으로 임명된 후 좌승지·이조참판·예조참판 등을 역임하며 정조를 보좌하였다.

정조가 사망하자 좌승지로 국왕의 장례에 참여하였고, 『정조실록(正祖實錄)』 편찬에도 관여하였다. 1800년(순조 즉위년)부터 1804년(순조 4)까지 형조판서, 호조판서, 이조판서, 공조판서, 사헌부 대사헌, 한성부 판윤 등을 역임하였다. 1805년(순조 5) 흉적 이경신(李敬臣)과 연루되었다는 모함에 빠지자 모든 관직을 사임하고 지금의 경기도 포천시 영중면 양문리에 은거하여 15년을 살았다. 이런 이유로 후세 사람들이 학덕을 겸비하고 항상 백성을 생각하였던 그를 ‘양문대신’이라고 불렀다. 조정에서 여러 차례 벼슬을 내렸으나 일체 응하지 않았다. 특히 1824년(순조 24) 우의정에 제수되었으나, 7차례 사직 상소를 올려 끝내 출사를 거부하였다.

이서구가 양문에 은거하면서 영평천에서 낚시를 드리우고 있을 때였다. 어떤 젊은 선비가 그곳을 지나게 되었는데, 선비 체면에 바지자락을 걷고 건널 수는 없다고 생각하여 “여보 늙은이, 나 좀 업어 건너 줄 수 있겠소.” 하고 이서구에게 청하였다. 이에 이서구가 흔쾌히 허락하고 백발노인답지 않게 가볍게 선비를 업고 내를 건너기 시작하였다. 내의 한가운데에 이르렀을 때 젊은이가 그의 망건에 달려 있는 옥관자(玉貫子)를 발견하고 깜짝 놀라서 “죄송합니다. 미처 알아 뵙지 못하였습니다. 여기 내려놓아 주십시오.” 하고 사죄하며 부들부들 떨었다. 당시 옥관자는 정3품 이상 대신급만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그러자 그는 “기왕 반쯤 왔으니 조금 더 갑시다.” 하고 여유 있게 내를 건너다 주었다. 이 젊은 선비는 철원으로 부임하는 군수였다고 한다. 젊은이가 백배사죄하니 그는 ‘세상사람 보기에는 모든 옳고 그름이 말에 있으니 스스로 자기를 갈고 닦아 근신하는 것밖에 더한 무엇이 있으랴.’라는 글을 써주고 훈계하였다는 일화가 전한다.

1825년(순조 25) 죽음에 임박하여 국왕에게 ‘어진 선비를 널리 뽑아 왕자를 보필할 것, 궁부(宮府)를 바로잡아 재용(財用)을 절약해서 민력(民力)을 아껴 양성할 것, 준재(俊才)를 모아 인심을 매어 둘 것’ 등을 내용으로 한 유소(遺疏)를 남겨 우국애민(憂國愛民)의 뜻을 전하였다.

[학문과 저술]

문자학(文字學)과 전고(典故)에 조예가 깊고 시와 글씨에 뛰어났다. 박지원의 고문관(古文觀)을 계승하여 한층 발전시켰는데, 과거의 고문만을 추종하는 것에서 벗어나 당대의 문장을 중시하며 그 속에서 옛 뜻을 찾았다. 문장은 간단하고 쉬운 것을 귀하게 여기고 복잡한 것은 천하게 여겼다. 고문은 요약하여 기술하였으나 매우 높은 경지에 이르렀고, 현재의 문장은 번다하여 막혀 있다고 하였다. 정조가 주장하였던 문체의 타락은 세도(世道)의 타락과 직결된다고 보고,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이의(理義)와 사실(事實)을 통해 써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그의 시는 혁신적이거나 현실적이기보다는 대개 관조하는 자세로 주위의 사물을 관찰하며 고요함을 얻으려 한 것이 대부분이었다. 고요하고 아름다운 자연 세계와 고귀한 내면의 깊이를 아울러 묘사함으로써 수준 높은 정신세계를 표현하여 시의 격조를 높이는 데 힘썼다. 저서로는 문집인 『척재집(惕齋集)』『강산초집(薑山初集)』이 있으며, 편서로는 『여지고(輿地考)』·『규장전운(奎章全韻)』·『장릉사보(莊陵史補)』가 있다.

[묘소]

묘는강원도 춘천시 남면 박암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1871년(고종 8) 문간공(文簡公)이란 시호가 내려졌다.

 

'새 카테고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홍대용  (0) 2015.02.24
홍석모  (0) 2015.02.19
류득공 묘  (0) 2015.02.18
문경공 화서 이항로 묘  (0) 2014.12.22
노산사  (0) 2014.12.22